맨위로가기

광주 이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주 이씨는 신라 내물왕 때 내사령을 지낸 이자성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 말 이당을 중시조로 하며, 조선 시대에 많은 문과 급제자, 상신, 공신, 대제학 등을 배출했다. 주요 인물로는 이덕형, 이수성, 이용훈 등이 있다. 본관은 광주이며, 율정공파, 둔촌공파 등 여러 분파로 나뉜다. 집성촌은 경기도 광주시, 용인시, 양평군 등 전국 각지에 분포하며, 2015년에는 약 18만 명의 인구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 이씨 - 이순재
    이순재는 함경북도 회령 출신으로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한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전직 국회의원으로, 1956년 연극으로 데뷔하여 60년 이상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고, 드라마 '거침없이 하이킥', 영화 '굿모닝 프레지던트' 등에 출연했으며 국회의원과 은관문화훈장을 수훈하고 예능 출연 및 후학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 광주 이씨 - 이우재 (1934년)
    이우재(1934년)는 육군 준장으로 예편 후 정치, 기업, 체육 분야에서 활동하며, 제11대 국회의원, 한국전기통신공사 초대 사장, 체신부 장관, 대한사격연맹 회장 등을 역임했다.
광주 이씨
기본 정보
성씨광주 이씨
한자 표기廣州李氏
관향경기도 광주시
나라한국
시조이자성(李自成)
중시조이당(李唐)
집성촌
지역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경기도 용인시 고기동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해리면
전라남도 보성군 조성면
전라남도 보성군 복내면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경상남도 창녕군 계성면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황해도 신계군 양곡리
평안북도 의주군 옥당면
주요 인물
인물이집
이인손
이극배
이극감
이극돈
이극균
이세좌
이정립
이준경
이이첨
이덕형
이담명
이광렬
이경재
이우재
이순재
이수성
이용근
이수인
이기재
이경재
이용훈
이용경
이정재
이종구
이주영
이화수
이용훈
이달곤
이춘희
이중재
통계
년도2015
인구181,377명
기타
비고광주 이씨 대종회
광주 이씨 문중 인장
광주 이씨 문중 인장

2. 역사

광주 이씨의 시조 '''이자성'''은 신라 내물왕 때 내사령(內史令)을 지냈다고 한다.

(하위 섹션 '기원', '고려 및 조선시대', '현대'에서 각각 상세하게 다루고 있으므로, 해당 내용은 간략하게 작성한다.)

2. 1. 기원

광주 이씨 족보에 의하면,[3] 광주 이씨 조상들은 신라 칠원(현재의 경상남도 함안군)에서 일종의 부족 사회를 이루고 살았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자성을 시조로 하여 내려온 칠원성은 신라의 모든 성이 고려 왕건에게 항복한 뒤에도 마의태자만을 왕으로 섬길 뿐 왕건에게는 굽힐 수 없다하여 끝까지 항거하였다. 왕건은 대군을 이끌고 칠원성을 함락시키고 이씨성을 가진 일족들을 모두 체포하여 회안(현재의 경기도 광주 북부를 일컬음)지방 관헌들에게 노비로 삼도록 하였다. 이후 여러 세대에 걸쳐 광주 지방의 노비 중에 이씨 성을 가진 사람들이 대대로 재주가 있고 덕망이 높다고 알려지면서, 이를 동정한 관리들이 그들의 신분을 높여주었다. 고려 말엽에 이르러서는 더러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을 하는 사람들도 생기게 되었다. 이 중에 이당이 고을 원님의 아전을 살고 있었는데, 그 원님의 딸과 혼인을 맺어 그들 사이에서 대대로 재주가 있고 덕망이 높은 자손들이 번창하였다. 이당의 아들 다섯이 다같이 과거에 급제하였고 다섯 아들 중 둘째가 유명한 둔촌 이집 선생으로 고려말 정몽주 등과 함께 높은 학문으로 이름을 날렸고 그의 집이 있던 고을은 그의 이름을 따서 오늘날 서울의 둔촌동이 되었다. 둔촌동에는 지금까지도 그가 살던 유적지와 그와 관련된 전설들이 전해져 오고 있다. 광주이씨(廣州李氏)의 조상 중에서 오늘날 기록이 확실히 남아있는 사람이 한음의 8대조 되는 둔촌 이집 선생이므로 대부분의 광주이씨 들은 이당을 시조로 하고 둔촌을 광주 이씨의 제1대로 기록하고 있다.

2. 2. 고려 및 조선시대

중시조 '''이당'''(李唐)은 고려 말 국자감(國子監)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했고, 조선조에 자헌대부(資憲大夫) 이조판서(吏曹判書) 겸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에 증직되었다. 이당의 차남 이집(李集)이 1355년(공민왕 4년) 과거에 급제하여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에 임명되었다.[1]

광주 이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188명, 상신 5명, 공신 11명, 대제학 2명, 청백리 5명, 종묘배향공신 1명을 배출했다.

이집의 장남 이지직(李之直)은 1380년(우왕 6년) 과거에 급제하여 참의(參議)가 되었고, 차남 이지강(李之剛)은 의정부참찬 겸 대사헌을 지냈으며, 셋째 아들 이지유(李之柔)는 성주목사를 지냈다. 이지직의 둘째 아들 이인손(李仁孫)은 세조 때 우의정, 셋째 아들 이예손(李禮孫)은 참판을 지냈다. 이인손의 5남 이극균(李克均)이 1503년에 좌의정에 올랐고, 이극균의 현손인 이덕형(李德馨)은 영의정에 올랐다.

광주 이씨 족보에 의하면[3] 광주 이씨 조상들은 신라 칠원(현재의 경상남도 함안군)에서 일종의 부족 사회를 이루고 살았다고 한다. 시조 이자성(李自成) 이후 칠원성은 신라가 고려 왕건에게 항복한 뒤에도 마의태자만을 왕으로 섬기며 왕건에게 끝까지 항거하였다. 왕건은 대군을 이끌고 칠원성을 함락시키고 이씨 성을 가진 일족들을 모두 체포하여 회안(현재의 경기도 광주 북부)지방 관헌들에게 노비로 삼도록 하였다. 이후 여러 세대에 걸쳐 광주 지방의 노비 중 이씨 성을 가진 사람들이 대대로 재주가 있고 덕망이 높다고 알려지면서, 이를 동정한 관리들이 그들의 신분을 높여주었다. 고려 말엽에 이르러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을 하는 사람들도 생기게 되었다. 이 중 이당(李唐)은 고을 원님의 아전을 살고 있었는데, 원님의 딸과 혼인하여 그들 사이에서 대대로 재주가 있고 덕망이 높은 자손들이 번창하였다. 이당의 아들 다섯이 다같이 과거에 급제하였고, 그중 둘째가 둔촌(遁村) 이집 선생으로, 고려말 정몽주 등과 함께 높은 학문으로 이름을 날렸으며, 그의 집이 있던 고을은 그의 이름을 따서 오늘날 서울의 둔촌동이 되었다. 둔촌동에는 지금까지도 그가 살던 유적지와 그와 관련된 전설들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광주이씨(廣州李氏) 조상 중 오늘날 기록이 확실히 남아있는 사람은 한음의 8대조인 둔촌 이집 선생이므로, 대부분의 광주이씨들은 이당을 시조로 하고 둔촌을 광주 이씨의 제1대로 기록하고 있다.

2. 3. 현대

이수성 제29대 국무총리, 이용훈 제14대 대법원장, 이중재 제6·7·8·9·12·15대 국회의원을 배출했다.[2]

3. 본관

940년 지명이 광주로 개칭됨에 따라 광주를 본관으로 삼게 되었다.[1]

4. 분파

광주 이씨는 여러 분파로 나뉜다.[1]

4. 1. 주요 분파

광주 이씨의 주요 분파는 다음과 같다.[1]

  • 율정공종회
  • 둔촌공종회
  • 십운과공종회
  • 석탄공종회
  • 암탄공종회


각 분파는 중시조 및 파조를 기준으로 구분된다.

  • 이익비(李益庇) → 중시조
  • * 이관의(李寬義) → 율정공파(栗亭公派)
  • * 이건(李虔, 초명 自齡) → 십운과공파(十韻科公派)
  • 이익강(李益康) → 중시조
  • * 이양중(李養中) → 석탄공파(石灘公派)
  • * 이양몽(李養蒙) → 암탄공파(巖灘公派)
  • 1세 이당(李唐) → 둔촌 계열 중시조
  • * 2세 이집(李集)
  • ** 3세 이지직(李之直)

4세 이장손 → 사인공파(舍人公派)
4세 이인손(李仁孫)
* 5세 이극배 → 광릉부원군파(廣陵府院君派)
* 5세 이극감(李克堪) → 문경공파(文景公派)
* 5세 이극증(李克增) → 광천군파(廣川君派)
* 5세 이극돈(李克墩) → 광원군파(廣原君派)
* 5세 이극균(李克均) → 좌의정공파(左議政公派)
4세 이예손(李禮孫)
* 5세 이극기 → 참판공파(參判公派)
* 5세 이극견(李克堅) → 좌통례공파(左通禮公派)

  • ** 3세 이지강(李之剛) → 문숙공파(文肅公派)
  • ** 3세 이지유(李之柔) → 목사공파(牧使公派)

4. 2. 세부 분파

광주 이씨는 크게 율정공종회, 둔촌공종회, 십운과공종회, 석탄공종회, 암탄공종회로 나뉜다.

  • 이익비(李益庇) → 중시조
  • * 이관의(李寬義) → 율정공파(栗亭公派)
  • * 이건(李虔, 초명 自齡) → 십운과공파(十韻科公派)
  • 이익강(李益康) → 중시조
  • * 이양중(李養中) → 석탄공파(石灘公派)
  • * 이양몽(李養蒙) → 암탄공파(巖灘公派)
  • 1세 이당(李唐) → 둔촌 계열 중시조
  • * 2세 이집(李集)
  • ** 3세 이지직(李之直)

4세 이장손 → 사인공파(舍人公派)
4세 이인손(李仁孫)
* 5세 이극배 → 광릉부원군파(廣陵府院君派)
* 5세 이극감(李克堪) → 문경공파(文景公派)
* 5세 이극증(李克增) → 광천군파(廣川君派)
* 5세 이극돈(李克墩) → 광원군파(廣原君派)
* 5세 이극균(李克均) → 좌의정공파(左議政公派)
4세 이예손(李禮孫)
* 5세 이극기 → 참판공파(參判公派)
* 5세 이극견(李克堅) → 좌통례공파(左通禮公派)

  • ** 3세 이지강(李之剛) → 문숙공파(文肅公派)
  • ** 3세 이지유(李之柔) → 목사공파(牧使公派)

5. 항렬자

17세18세19세20세21세22세23세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41세42세43세
口회(會)병(秉)口래(來)용(容)口재(載)종(鍾)口수(洙)주(柱)口희(熙)규(圭)口현(鉉)해(海)口식(植)남(南)口옥(玉)선(善)口택(澤)영(榮)口섭(燮)재(在)口호(鎬)홍(洪)口상(相)형(炯)口곤(坤)동(銅)口철(澈)


6. 주요 인물

광주 이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188명, 상신 5명, 공신 11명, 대제학 2명, 청백리 5명, 종묘배향공신 1명을 배출했다.

이집(李集)의 아들 대에서는 이지강(李之剛)은 의정부참찬 겸 대사헌을, 이지유(李之柔)는 성주목사를 지냈다. 이지직(李之直)의 아들 대에서는 이인손(李仁孫)은 세조 때 우의정, 이예손(李禮孫)은 참판을 지냈다. 이인손의 5남 이극균(李克均)은 1503년에 좌의정에 올랐고, 이극균의 현손인 이덕형(李德馨)은 영의정에 올랐다.[1]

현대에는 이수성 제29대 국무총리, 이용훈 제14대 대법원장, 이중재 제6·7·8·9·12·15대 국회의원을 배출했다.[2]

7. 집성촌

지역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유사리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만선리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연곡리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무갑리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고기동
경기도 양평군 지평면 향교마을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해리면 사반리
전라남도 장흥군 용산면 덕제리
전라남도 장흥군 용산면 모산리
전라남도 보성군 조성면 대곡리
전라남도 보성군 복내면 봉천리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죽림리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매원리
경상남도 창녕군 계성면 신당리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삼신리
황해도 신계군 마서면 양곡리
평안북도 의주군 옥당면 당목동


8. 인구

1985년에는 33,816가구 141,831명, 2000년에는 48,811가구 158,249명, 2015년에는 181,377명이 있었다.

광주 이씨 인구
연도가구인구
1985년33,816141,831명
2000년48,811158,249명
2015년181,377명


참조

[1] 인물
[2] 백과사전 李重載 https://encykorea.ak[...]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웹사이트 광주이씨유래 http://www.gwanglee.[...] 광주이씨대종회 2011-04-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